애니메이션 메뉴

업데이트: 2025/08/26

애니메이션 메뉴에 대해 설명합니다.

항목상세
소재선택 트랙의 소재를 다시 불러오기:
선택한 트랙의 소재를 다시 불러옵니다.

선택 트랙의 소재를 교체:
선택한 트랙의 소재를 바꿉니다.

선택 트랙의 소재를 교체(모든 장면):
선택한 트랙의 소재를 모든 장면에서 바꿉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모델 불러오기 및 배치」를 참조해 주십시오.
장면장면 새로 만들기:
장면을 새로 만듭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장면 관리 및 설정」을 참조하십시오.

장면 가져오기:
장면을 가져옵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장면 관리 및 설정」을 참조하십시오.

오디오 파일로부터 자동으로 장면 생성:
오디오 파일에서 립싱크를 생성합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BGM과 음성으로 장면 생성」을 참조하십시오.

루프 편집 보조 활성화/비활성화:
루프 편집 보조 활성화/비활성화를 전환합니다.
트랙파라미터 컨트롤러의 애니메이션 베이크:
대상 추적으로 계산된 움직임을 [Live2D 파라미터]의 키 프레임으로 베이크합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컨트롤러 타깃 설정」을 참조하십시오.

물리 연산 애니메이션 베이크:
물리 연산으로 설정한 「머리카락 흔들림」이나 「옷 흔들림」 등의 움직임을,
애니메이션 트랙의 타임 라인에 키 프레임으로 베이크(인화)할 수 있습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물리 연산 애니메이션 베이크」를 참조하십시오.

모션 싱크 애니메이션 베이크:
모션 싱크로 설정한 입 등의 움직임을 애니메이션 트랙의 타임 라인에 키 프레임으로 베이크(인화)할 수 있습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모션 싱크 애니메이션 베이크」를 참조하십시오.

오디오 파일에서 립싱크 생성:
오디오 파일에서 립싱크를 생성합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BGM과 음성으로 장면 생성」을 참조하십시오.

현재 위치를 트랙의 처음으로 이동:
현재 위치를 트랙의 시작 부분으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Shift]+[B]

현재 위치를 트랙의 끝으로 이동:
현재 위치를 트랙의 끝으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Shift]+[N]

현재 위치로 트랙을 이동:
현재 위치로 트랙을 이동합니다.
단축키 [Shift]+[M]
타임 라인
<인디케이터>
처음으로 이동:
인디케이터를 타임 라인의 처음으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Home]

끝으로 이동:
인디케이터를 타임 라인의 끝으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End]

작업 영역의 시작점으로 이동:
인디케이터를 작업 영역의 시작점으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Shift]+[Home]

작업 영역의 끝점으로 이동:
인디케이터를 작업 영역의 끝점으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Shift]+[End]

이전 프레임:
인디케이터를 한 프레임 뒤로 되돌립니다.
단축키 [PageUp]

다음 프레임:
인디케이터를 한 프레임 앞으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PageDown]

이전 키 프레임:
인디케이터를 선택한 파라미터의 이전 키 프레임으로 되돌립니다.
단축키 [J]

다음 키 프레임:
인디케이터를 선택한 파라미터의 다음 키 프레임으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K]

이전 키 프레임(트랙):
인디케이터를 트랙(보라색 바)의 이전 키 프레임으로 되돌립니다.
단축키 [Shift]+[J]

다음 키 프레임(트랙):
인디케이터를 트랙(보라색 바)의 다음 키 프레임으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Shift]+[K]

이전 마커로 이동:
인디케이터를 이전 마커의 위치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Ctrl]+[J]

다음 마커로 이동:
인디케이터를 다음 마커 위치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Ctrl]+[K]

이전 어니언 스킨 마커로 이동:
인디케이터를 이전 어니언 스킨 마커의 위치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Ctrl]+[Shift]+[J]

다음 어니언 스킨 마커로 이동:
인디케이터를 다음 어니언 스킨 마커의 위치로 이동합니다.
단축키 [Ctrl]+[Shift]+[K]

작업 영역의 시작점으로 설정:
인디케이터가 현재 있는 위치를 작업 영역의 시작점으로 설정합니다.

작업 영역의 끝점으로 설정:
인디케이터가 현재 있는 위치를 작업 영역의 끝점으로 설정합니다.
타임 라인작업 영역 전체 표시:
작업 영역 전체가 표시되도록 확대/축소 배율을 조정합니다.
단축키 [Shift]+[F]

장면 전체 표시:
장면 전체가 표시되도록 확대/축소 배율을 조정합니다.

확대 축소 리셋:
현재 인디케이터가 있는 위치를 확대 표시합니다.
페이드페이드 인/아웃 설정:
[페이드 인/아웃 설정] 대화 상자를 엽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페이드 값 설정」을 참조하십시오.

다른 장면에 페이드 인/아웃 설정 반영:
[다른 장면에 페이드 인/아웃 설정 반영] 대화 상자를 엽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페이드 값 설정」을 참조하십시오.
파라미터 컨트롤러파라미터 컨트롤러의 계산 유닛 설정:
[파라미터 컨트롤러의 계산 유닛 설정] 대화 상자를 엽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파라미터 컨트롤러 정보」, 「컨트롤러 타깃 설정」을 참조하십시오.

방향 컨트롤러 반전:
선택한 방향 컨트롤러를 반전합니다.

방향 컨트롤러를 2개의 단일 포인트 컨트롤러로 변환:
선택한 방향 컨트롤러를 2개의 단일 포인트 컨트롤러로 변환합니다.

2개의 단일 포인트 컨트롤러를 방향 컨트롤러로 변환:
선택한 2개의 단일 포인트 컨트롤러를 방향 컨트롤러로 변환합니다.

대상 추적:
대상 추적의 ON/OFF를 전환합니다.

재생 전에 일괄 계산:
재생 전에 일괄 계산의 ON/OFF를 전환합니다.

컨트롤러 표시:
파라미터 컨트롤러 표시의 ON/OFF를 전환합니다.

컨트롤러 표시 설정:
파라미터 컨트롤러 표시 설정 대화 상자를 엽니다.
파라미터 즐겨찾기선택한 파라미터로 표시:
선택한 파라미터를 북마크로 표시합니다.

선택한 트랙에서 라벨 삭제:
선택한 트랙에서 모든 라벨을 삭제합니다.

라벨을 일괄 복제(동일 모델의 트랙):
선택한 트랙의 라벨을 모든 장면의 동일한 모델 트랙으로 일괄 복제합니다.

라벨을 개별적으로 복제:
선택한 트랙의 라벨을 지정한 장면의 트랙으로 개별적으로 복제합니다.

모든 라벨 숨기기:
표시된 모든 라벨을 숨깁니다.

파라미터 즐겨찾기 표시 설정:
파라미터 즐겨찾기 표시 설정 대화 상자를 표시합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파라미터 즐겨찾기」를 참조하십시오.
마커 추가타임 라인에서 임의의 프레임 위치에 표시를 할 수 있게 됩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마커 기능」을 참조하십시오.
재생애니메이션을 재생합니다.
재생 중에 클릭하면 애니메이션이 중지됩니다.
단축키 [Enter]
편집 모드 전환 [도프 시트]와 [그래프 에디터]를 전환합니다.
단축키 [C]
파일 수집애니메이션 파일을 사용 중인 소재와 함께 복사하여 내보냅니다.
자세한 내용은 「파일 수집」을 참조하십시오.

이 기사가 도움이 되었나요?
아니요
이 기사에 관한 의견 및 요청사항을 보내 주시기 바랍니다.